CIDR 계산법

AWS에 네트워크 셋팅을 하다보면 종종 10.10.1.32/24와 같은 형태의 설정을 보게 된다. 이는 CIDR(싸이더) 표기법이며 위키에 아래와 같이 정의 되어 있다.

사이더(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, CIDR)는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으로 1993년 도입되기 시작한, 최신의 IP 주소 할당 방법이다. 사이더는 기존의 IP 주소 할당 방식이었던 네트워크 클래스를 대체하였다. 사이더는 IP 주소의 영역을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눌 때 기존방식에 비해 유연성을 더해준다. 특히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.

  • 급격히 부족해지는 IPv4 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해준다.
  • 접두어를 이용한 주소 지정 방식을 가지는 계층적 구조를 사용함으로써 인터넷 광역 라우팅의 부담을 줄여준다.


정의는 이렇고 실제 사용은 매우 간단하다.  10.10.1.32/24의 IP 주소가 있으면 /24는 IP 주소의 접두어(prefix)의 길이를 의미하고 이 길이 만큼 마스킹 된다. 10.10.1.32를 8bit로 표기해 보면 아래와 같고

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00
|---------------- 24 bit ------------|

/24는 위처럼 처음부터 24번째까지를 의미한다. 24번째까지 주소(10.10.1)를 접두어(고정)로 가진 2^8(8bit)개의 IP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. 다른 예를 하나 들어 보면,

10.10.1.32/30

8bit로 표기하면 아래와 같다.

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00
|-------------------- 30 bit ------------------|

그러면 이 CIDR로 된 녀석들은 아래 4(2^2)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.
  1. 10.10.1.32 -> 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00
  2. 10.10.1.33 -> 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01
  3. 10.10.1.34 -> 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10
  4. 10.10.1.35 -> 00001010.00001010.00000001.00100011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Orange for Oracle에서 한글 깨짐 해결책

[Protocol] WIEGAND 통신

[UI] GNB·LNB·SNB·FNB 용어 설명